네트워크

네트워크 OSI 계층 모델과 프로토콜

winter-lover 2022. 3. 22. 23:39

프로토콜의 개념

네트워크는 거미줄처럼 서로 연결되어 있는 통신 시스템 자체를 의미합니다. 그리고 네트워크에는 표준화된 규칙이 존재하는데 이것은 국제표준화기구(ISO)가 컴퓨터의 통신 기능을 계층 구조로 나눈 것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이 표준은 어디에서나 통용되는 하나의 규칙으로 여겨지며 '프로토콜'이라고 불립니다. 

예를 들어, 우리가 'https://www.naver.com'과 같은 URL을 입력하여 웹에 접속을 한다면, 처음에 입력한 HTTP(HyperText Transfer Protoocol)이 웹 서버와 웹 클라이언트에서 데이터를 송수신할 때 사용하는 통신 규칙으로 동작을 하는 것입니다.

 

OSI 참조 모델에서는 프로토콜을 아래와 같이 분류하고 있습니다.

계층 설명 프로토콜
응용 계층(제 7계층) 애플리케이션 별로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을 규정 애플리케이션프로토콜(HTTP 등)
표현 계층(제 6계층) 애플리케이션 데이터를 통신에 적합한 형태로 변환하는 방법을 규정
세션 계층(제 5계층) 데이터를 흘려보내는 논리적인 통신로(커넥션)의 확립과 연결 끊기에 대해 규정
전송 계층(제 4계층) 데이터를 통신 상대에게 확실하게 전달하는 방법을 규정 TCP / UDP
네트워크 계층(제 3계층) 동일 또는 다른 네이트워크의 기기와 연결하기 위한 주소와 경로의 선택 방법을 규정 IP / ICMP / ARP
데이터링크 계층(제 2계층) 직적 연결된 기기 사이에 논리적인 전송로(데이터링크)를 확립하는 방법을 규정 이더넷
물리 계층(제 1계층) 네트워크 케이블의 재질이나 커넥터 형식, 핀의 나열 방법 등 물리적인 요소를 규정

 

이와 같이 7개의 계층 구조로 나누고 있는데, 각각의 계층은 전혀 다른 역할을 갖고 있으며 따로따로 작동하도록 되어 있습니다. 그렇게 함으로써 계층과 계층이 서로 영향을 받지 않으며 계층별로 분리된 트러블 슈팅을 할 수 있는 것입니다.